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경기광주 버스 15-1

덤프버전 :

||


파일:15-1_8001.png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4.1. 시간표
5. 연계 철도역
6. 둘러보기
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광주시 CI_White.svg 광주시 일반시내버스 15-1번
[ 지도 노선도 보기 ]
파일:경기광주 버스 15-1.jpg
기점경기도 광주시 역동(경기광주역)종점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(남한산성)
종점행첫차05:00기점행첫차05:45
막차22:10막차23:00
평일배차30~50분주말배차20~40분
운수사명경기고속, 대원고속인가대수4~5대
노선경기광주역 - 안골.해태아파트 - 광주중학교 - 보건소.공설운동장 - 밀목 - 번천삼거리 - 광지원(남한산성면사무소) - 오전리 - 검복리 - 남한산성


2. 개요[편집]


경기고속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, 경기광주역/광주시 시내와 남한산성을 잇는 노선이다. 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파일:15-1과거.png

  • 명진여객에서 운행하던 15번의 지선으로 개통되었다. 당시 노선은 '남한산성 - 광지원 - 하남등기소 - 신장사거리 - 황산 - 명일동 - 암사시장 - 천호동 - 강변역'이었다.

  • 남한산성을 출발해 경안리 지선과 강변역 본선으로 나누어 운행했는데 시내버스 면허로 전환되며 강변역 본선은 115-1번으로, 경안리 지선은 15-1번으로 부여받았다.

  • 이후 두 노선 다 경기고속으로 넘어왔는데 이후 다시 15-1번으로 합쳐서 지선과 본선 형식으로 운행하다가 강변역 행 노선이 덕풍파출소로 단축되었다가 112-5번으로 변경되어 대원고속으로 이관되었고, 광주시내로 들어가던 15-1번만 남아 '광주 - 남한산성' 구간을 운행하게 된다.

  • 광주터미널 개장 이후 광주터미널 출발로 변경되어 '광주터미널 - 경안동주민센터 - 보건소 - 파라다이스아파트 - 밀목사거리 - 번천 - 광지원 - 남한산성'으로 운행하게 되었다.

  • 2014년 말부터 공영버스 차량에 15-1번 노선 스티커를 붙여 일부를 고정 차량으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.

  • 경강선이 개통하면서 2016년 9월 19일에 '광주터미널 - 축산농협 - 경안동주민센터 - 보건소 · 공설운동장' 구간이 '경기광주역 - 광주중앙고 - 안골 - 보건소 · 공설운동장'으로 변경되었다. 관련 게시물

  • '경기광주역 - 해태아파트' 간 도로가 완공되면서, 2017년 7월 1일에 '경기광주역 - 광주중앙고 - 광주중' 구간이 '경기광주역 - 해태 그린아파트 - 광주중'으로 변경되었다. 관련 게시물

  • 2019년 7월 29일에 1일 20회(평일)/18회(주말, 공휴일)에서 전일 21회로 증회하였다.

  • 2021년 11월 27일부터 주말, 공휴일에 한해 2대 더 증차해 33회로 증회하였다.

  • 2022년 11월 7일부터 4~5대의 차량을 투입하여 평일 36회, 휴일 35회씩 운행하고 있다. 대원고속 차량이 증차에 포함되면서 경기고속, 대원고속 양 사가 공동 배차한다. 또한 첫차는 5시대에도 운행할 정도로 앞당겨지고, 막차는 22~23시대에도 운행할 정도로 크게 늦춰졌다. 관련 게시물

4. 특징[편집]


  • 노선번호가 15-1번인 이유는 15번이 '광주 - 하남 - 강변역' 구간을 운행할 당시 15번의 남한산성 지선으로 신설된 노선이기 때문이다. 본선인 15번이 남양주 기점으로 바뀐 것은 90년대 후반의 일이며, 15-1번이 현 노선으로 변경된 후에는 같은 회사에서 운행하는 것을 제외하면 공통점이 없었으나, 15번이 경기여객으로 이관되면서 인면허기관도 달라지면서 공통점이 사라졌다.

  • 광주에서 남한산성 종점까지 올라가는 유일한 노선이다. 주말에는 관광객과 등산객 수요가 많아서 오히려 증차 운행한다.

  • 과거에는 고정배차 차량을 기본으로 하고 노선번호 부착 없는 공영버스 차량이 수요에 따라 1~2대 추가 운행하였으나, 2022년 11월부터 경기고속 차량은 15-1번 번호를 부착하여 고정 운행하고, 대원고속 광주공영 차량을 추가 투입해서 운행하고 있다. 광주시청 노선안내 페이지에는 시내버스가 아닌 지선버스[1]로 분류되어 있는데, 고정운행 차량으로 구성된 공영버스 노선으로 보면 된다.

  • 문화로와 광지원 ~ 광주시내를 경유하는 노선 중 운행 빈도가 가장 많은 노선이다. 나머지는 1일 운행 횟수가 1~6회로 손가락에 꼽을 정도. 광지원 ~ 광주시내 구간은 13번과 함께 주 수요를 담당한다.

  • 중간중간 나무들로 둘러싸인 곳이 많아 맑은 날, 특히 가을에 타면 좋다.

  • 시간대만 맞다면 광주에서 이 노선을 타고 남한산성종점까지 올라간 다음, 9번(주말 한정 9-1번 포함)이나 52번을 타고 성남으로 가는 방법도 있다(혹은 그 반대로도 가능). 산길을 좋아한다면 추천하는 교통편. 15-1번의 업힐(특히 도로가 갈라지는 부분)과 9번의 다운힐, 그리고 성보경영고 앞 오르막길까지 모두 체험할 수 있다. 등산객들이 몰리는 주말에도 1.5시간 정도면 완주가 가능하다.


  •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.


4.1. 시간표[편집]


파일:20230324_131347.jpg

경기광주 버스 15-1번 운행시간표
2022년 11월 7일 기준 출처
횟수평일토,일,공휴일비고
경기광주역남한산성경기광주역남한산성
105:0005:4505:0005:45
205:3006:1505:3006:15
306:0006:5006:0006:50
406:3007:2006:3007:20
507:0007:5007:0007:50
607:3008:2007:3008:20
708:0008:5008:0008:50
808:3009:2008:2009:10
909:0009:5008:4009:30
1009:3010:2009:1010:00
1110:2011:1009:3010:20
1210:5011:4010:0010:40
1312:0012:5010:4010:55
1412:4013:3011:2011:35
1513:2014:1011:4512:15
1613:4014:3012:1012:40
1714:0014:5012:4513:05
1814:2015:1013:0013:40
1914:4015:3013:4013:55
2013:4014:2514:2014:35
2114:0014:4515:0015:15
2214:4015:2515:3015:45
2315:2016:1015:1516:20
2415:5016:4016:1016:30
2516:2017:1016:5017:05
2617:0017:5017:3017:40
2717:4018:3018:1018:20
2818:2019:1018:0018:50
2918:4019:3018:5019:00
3019:0019:5019:2019:10
3119:2020:1019:4020:10
3219:4020:2520:1020:30
3320:2021:0520:3021:15
3421:0021:4521:2022:05
3521:3022:1522:1023:00
3622:1023:00--
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

6. 둘러보기[편집]


||


파일:광주시 CI.svg 남한산성행 버스
산성역남위례역경기광주역
99-1주말52평일53주말15-1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12 02:19:27에 나무위키 경기광주 버스 15-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광주시청에서는 공영버스를 지선버스라고 표기한다.